7.12.16

[탑뉴스 진단] 한인회 33대 빚덩어리 어쩌면 좋나

34대 한인회 김요진 회장은 선거 당시 공약에서 임기를 마칠 때 차기 회장에게 빚을 남기지 않겠다고 선언한바 있다. 그러나 김요진 회장은 선출 된지 얼마 되지 않아 자신이 엄청난 빚을 안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  그 당시 박남근 전회장은 감사 보고도 없었으며 인수 인계를 하는 과정에서 서류철 하나만 건네 받았고 모든 신문사에서 내용물을 확인 한 바 있다. 2년간의 행정이라고는 영수증과 서류를 포함해 삼십장도 되지 않은듯 했다. 밀린 금액도 상당했다. 사실 그정도의 빚덩어리 한인회인줄 알았다면 그 누구도 출마하려 하지 않았을 것이다.

황당함을 감추지 못했던 김요진 회장은 330일 회장단과 감사들이 모인 자리에서 예전의 부채는 한인 회비로 절대 청산하지 않겠다고 기자들 앞에서 발표를 했다. 그 후 박남근 전 회장은 자신의 임기때 밀린 금액은 차 후 해결하겠다는 말만 남기도 떠나갔다. 박남근 전 회장은  당시 본인 역시 이백수 전회장(탄핵)에게서 빚만 떠 안았다며 힘들게 시작하기는 본인도 마찬가지였다고 반박한 적이 있었다. 본인이 임기 당시 빚을 책임져야 한다고 한다면 이백수 전회장 역시 그 책임을 함께 해야 한다고 말 한적이 있다.

인수 받은 한인회의 재산을 정리해서 발표된 부채 금액이 28만헤알 상당이었다. 그 동안의 이자가 붙어 더 늘어 났을 것이다. 이제 1년이 넘어가게 되면 %의 벌금이 붙으니 또 다른 금액이 되어 버린다.

이 문제를 어떻게 봐야 할까. 비록 33대가 남긴 체납금이지만 이유를 막론하고 현재의 회장단이 해결을 지어야 하지 않을까. 자신의 임기 때에 빚을 남기지 않겠다고 공약한 김요진 회장의 입장으로써는 답답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.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 지금의 회장단은 한인 회비가 순조롭게 거쳐 흑자를 보고 있다고 전했다. 그런 만큼 한인회 집안을 꾸리며 사업을 해 나가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거듭 감사를 표명했다. 그래도 넉넉하다고는 볼수가 없을 것이다. 그런데 전 회장단 임기 때 발생한 문제로 어쩔 수 없이 지불 되야하는 부분에서는 이미 현 임원단에서 지불을 한 것들도 상당수라고 말했다. 그래도 남은 금액의 숫자는 변함이 없다.

2의 한국학교 사태를 맞이 하는 것은 아닌가 우려된다.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부터 해결을 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 할지, 아니면 말 그대로 회관을 판 돈으로 갚을 생각으로 아까운 이자의 이자를 물을 생각인지.


이것이야 말로 긴급 대책 회의를 열어야 할 문제가 아닐까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

시민권, 영주권자까지 기초생활수급 신청 가능해, 한인 사회 큰 도움 될 듯

브라질 탑뉴스 미디어 2019.05.27 브라질한국경제협력재단 IBC 에서는 브라질 기초생활수급 Benefício de Prestação Continuada –  BPC LOAS 가 4 월 17 일 통과 되었다고   전홍구 대표...